병원·약국서 신분증·스마트폰 없으면 ‘돈’ 다 낸다 20일부터 모바일 건강보험증

병원·약국서 신분증·스마트폰 없으면 ‘돈’ 다 낸다 20일부터 모바일 건강보험증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들어 병원이나 약국을 방문하실 때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는 소식을 들으셨나요? 이제부터는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사람이 타인의 건강보험증을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가 시행되는데요. 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오는 20일부터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에 따라 모든 요양기관에서 환자 본인 여부와 건강보험 자격 여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건강보험증

신분증이 없으면,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해 진료비 전액을 부담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병원비가 만5천 원 나왔을 때 건강보험을 적용받아 1,500원 정도 내면 됐던 것을, 고스란히 만5천 원을 내야 하는 거죠.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과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

5월 20일부터 시행되는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는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타인의 건강보험증을 빌려 혜택을 받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보건복지부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이번 제도를 마련했습니다. 실제로 2023년에만 약 4만 건의 부정수급 사례가 발생했는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앞으로는 병원이나 약국을 방문할 때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신분증 지참의 중요성

이 제도의 시행으로 인해 요양기관에서는 신분증 또는 건강보험증을 지참하지 않으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병원이나 약국을 방문할 때에는 반드시 신분증을 챙겨야 합니다. 하지만 일부 예외 사항이 있어서 본인 확인이 면제되는 경우도 있으니, 이를 확인하고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19세 미만이거나 응급환자의 경우에는 주민등록번호로 본인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국가보훈등록증 등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발급한 사진과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모바일 건강 보험증의 필요성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uscDt%2FbtsHtIDjHq1%2FBUj4rbrWmPfmZ0pjtwtqlK%2Fimg

진료비 폭탄 피하려면…앞으로 ‘이것’ 꼭 챙기세요!

신분증을 놓고 왔다거나 깜빡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건강 보험증 앱을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본인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 후 본인인증을 거치면 쉽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 보험증 발급 방법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y0Bw%2FbtsHt3Aco38%2Fnv2UuG29Y46VPWVhhVS6Nk%2Fimg

모바일 건강 보험증을 발급받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다음의 단계를 따라 해보세요:

  1. 앱 다운로드: 먼저 스마트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안드로이드 기기는 Google Play Store에서, iOS 기기는 App Store에서 앱을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본인 인증: 앱을 실행한 후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칩니다. 휴대폰 번호 인증, 금융 인증서 등을 통해 본인 확인을 합니다.
  3. 건강 보험증 발급: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모바일 건강 보험증이 발급됩니다. 앱 내에서 발급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병원 방문 시 활용: 발급된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병원 방문 시 종이 건강 보험증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병원에서는 모바일 건강보험증의 QR 코드를 스캔하여 신속하게 건강보험 자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mg

img

모바일 건강 보험증의 장점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qaPyI%2FbtsHt0wOmlr%2FPqE96pDndXhtOYq88lVegK%2Fimg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종이 건강보험증을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병원 방문 시 간편하게 본인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인 인증만 완료하면 언제든지 스마트폰에서 건강보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 위반 시 처벌

요양기관에서는 본인 확인 절차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1차 위반 시에는 30만원, 2차 위반 시에는 60만원, 3차 이상 위반 시에는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요양기관에서도 본인 확인 절차를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결론

5월 20일부터 시행되는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는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타인의 건강보험증을 사용하는 부정수급을 막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병원이나 약국을 방문할 때에는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며, 이를 깜빡했다면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통해 간편하게 본인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공식 서비스로, 신분증을 놓고 왔을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여 요양기관 이용 시 불편함 없이 건강보험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건강보험공단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여러분 모두 건강하게 요양기관을 이용하시기 바라며, 앞으로도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